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가지다’를 줄여 쓰자

번역투 표현으로 볼 수 있는 것 중에 ‘~를 가지다(갖다)’ 형태가 있다. 우리말에서 잘 어울리는 다른 서술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지다’ ‘갖다’를 남용하는 것은 영어의 ‘have+명사’를 ‘가지다’ 또는 준말인 ‘갖다’로 단순 번역하는 데 익숙한 탓이라고 보는 사람이 많다.   “즐거운 시간 가지시기 바랍니다”가 대표적인 예로 “Have a good time”을 직역한 것이다. “즐거운 시간 보내시기 바랍니다”나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가 우리말에서 어울리는 표현이다. ‘가지다’는 소유의 개념 외에도 여러 가지 뜻을 지니고 있어 두루 쓸 수 있는 단어이긴 하다. 그러나 경우를 가리지 않고 마구 사용함으로써 어색한 문장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 문제다.   ‘기자회견을 갖다’ ‘회담을 갖다’ ‘집회를 갖다’ ‘간담회를 갖다’ 등은 ‘열다’ ‘하다’ ‘개최하다’ 등이 어울리는 자리에 ‘갖다’를 쓴 경우다.     ‘가지다’를 남용하면 더욱 어색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나는 세 명의 가족을 가지고 있다”가 그런 예로 가족이 소유물인 듯한 표현이다. “나에게는 세 명의 가족이 있다” 또는 “우리 가족은 세 명이다” 등이 자연스런 표현이다.   이처럼 ‘가지다(갖다)’를 남용함으로써 정상적인 우리말 표현 방식이 무너지고 있다. 상황에 따라 ‘열다’ ‘있다’ ‘하다’ ‘보내다’ 등 다른 적절한 단어로 바꾸어 쓰거나 우리말답게 문장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우리말 바루기 우리말 표현 명의 가족 우리 가족

2024-04-24

[아름다운 우리말] 입찬 정치

우리말은 감각에 대한 표현이 발달하였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촉각에 관한 표현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촉각에 해당하는 어휘를 떠올리면 어떤 게 있을까요? 부드럽다, 거칠다, 따갑다, 뜨겁다, 따뜻하다, 차갑다, 시원하다, 간지럽다, 얼얼하다 등이 줄줄이 떠오릅니다. 주로 우리의 피부나 혀가 느끼는 감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촉각은 때로 상대적인 느낌입니다. 사람에 따라 느끼는 게 다르다고나 할까요?   우리말 촉각 표현 중에서 제일 어색한 것은 ‘따뜻하다’입니다. 따뜻한 것과 뜨거운 것은 전혀 다른 감각인데 우리는 뜨거운 것을 따뜻하다고도 표현합니다. 대표적인 예는 ‘따뜻한 아메리카노’입니다. 영어에는 분명히 ‘hot’이라고 쓰여 있는데, 우리는 따뜻하다고 합니다. 따뜻한 줄 알고 마셨다가는 큰일 납니다. 엄청 뜨겁습니다. 아마도 원래는 몸을 데우기 위해서 마시던 따뜻한 차의 느낌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긴 뜨거운 것을 ‘시원하다’라고도 하니 따뜻하다는 약과인 셈입니다.   우리의 촉각은 우리의 모든 삶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달리 말하자면 모든 감각을 촉각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촉각이 가장 직접적인 감각이기에 느낌이 잘 전달되는 듯합니다. 보고, 듣고, 맛보고, 냄새 맡는 감각보다 피부에 닿는 느낌이 훨씬 잘 다가옵니다. 그래서 우리말에는 ‘피부로 느끼다’는 표현도 있습니다. 생각만 하던 현실이 직접 다가올 때 피부로 느낀다고 표현하는 겁니다. 몸이 아픈 것도 기본적으로는 촉각입니다. 그래서 마음이 아프다보다는 가슴이 아프다가 더 쉽게 이해되었을 겁니다.   촉각은 수많은 공감각적 표현을 낳습니다. 특히 소리를 나타내는 표현을 촉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드러운 목소리, 거친 숨소리, 따뜻한 말 한마디는 소리의 느낌을 쉽게 보여줍니다. 굳이 공감각적이라고 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우리에게 익숙한 표현 방식입니다. 한국인에게 공감각적 표현은 문학이 아니라 생활입니다. 특별히 배우지 않아도 쉽게 이해하고 표현합니다.   우리말 표현 중에는 이렇게 공감각적 표현이 굳어져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말이 많습니다. 대표적인 말이 ‘입찬소리’입니다. 입에서 나오는 소리는 따뜻한 게 정상입니다. 내 입김과 함께 나오기에 내 몸속의 열기를 담습니다. 대화 속에서 온기가 느껴지고, 서로 위로받습니다. 따뜻한 말 한마디라는 표현도 특별한 수사가 아닙니다. 그런 의미에서 입찬소리는 비정상적입니다.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차갑게 느껴질 때는 언제일까요? 당연히 상대에 대한 비난이나 욕은 차갑습니다. 그런 말을 들으면 실제로 서늘한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소름이 끼친다는 말도 합니다. 찬 소리는 상처가 됩니다.     그런데 우리말 ‘입찬소리’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남에게 입찬소리하면 그대로 내게 돌아온다는 교훈입니다. 그래서 무섭습니다. 우리말 입찬소리가 주로 쓰일 때는 남의 자식을 욕하는 장면입니다. 남의 자식을 함부로 욕하면 내 자식도 그렇게 된다는 말입니다. 남의 사정도 모르면서 함부로 멋대로 판단하고 욕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입니다. 입으로 지은 업보(業報)를 불교에서는 구업(口業)이라고 합니다. 구업을 없애려면 남을 진심으로 칭찬하고 위로하여야 합니다. 그게 바로 따뜻한 말입니다.   요즘 우리에게 들려오는 입찬소리 중 제일 거친, 찬 소리는 정치인의 말입니다. 정치(政治)는 바르게[正] 사는 일이고, 나의 이익보다는 사회의 이익을 도모하는 귀한 일입니다. 그런데 그 뜻을 잃은 채 남을 모욕하고, 더러운 표현으로 비난합니다. 남이 낮아지면 자신이 높아질 줄 착각하는 겁니다. 아닙니다. 상대와 상관없이 내가 나쁜 것은 그냥 나쁜 겁니다. 요즘 어느 나라 할 것 없이 정치인의 말이 한없이 가볍고 차갑습니다. 입찬소리는 모두 업보가 되어 자신에게 돌아옵니다. 두려워해야 합니다. 저 역시 오늘 저의 말이 입찬소리가 아닌지 다시 살펴봅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정치 우리말 입찬소리 우리말 표현 공감각적 표현

2023-06-18

[아름다운 우리말] 우리말과 깨달음

저는 한국어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중에서도 주로 어휘와 사고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어원에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육학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오늘은 제가 연구하는 분야 중에서 우리말과 깨달음에 관해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우리말 어휘 몇 개와 그 속에 담긴 우리의 생각에 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저는 요즘 일본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지금 듣고 있는 수업도 처음에는 ‘우연찮게’ 듣게 되었습니다. 일본어 상급 독해 선생님이 소개해 주신 것인데, 시험을 준비하는 것도 아니어서 자유롭게 읽고 말할 수 있는 이 수업을 우연찮게 듣게 된 것입니다. 제가 계속 우연찮게라는 말을 쓰고 있는데 이 말을 많은 한국 사람들은 우연히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대다수의 사람은 ‘우연찮게’를 ‘우연히’와 같은 단어로 생각합니다만 사실은 정반대의 의미입니다. 우연찮게는 ‘우연이 아니다’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우연찮게’라는 말을 쓰는 모든 장면은 우연이 아닌 게 됩니다. 당연히 제가 일본어 수업을 듣게 된 것도, 여기에 오랜 기간 칼럼을 쓰고 있는 것도, 여러분께 오늘 이렇게 우리말에 관해 이야기를 하게 된 것도 우연이 아닌 겁니다. 필연입니다. 인연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그래서 소중한 것입니다. 우리의 모든 만남이 그렇습니다. 모두 우연찮게 만난 것이기에 소중합니다. 저는 우리가 우연찮게라는 말을 쓸 때마다 깨달음이 있기 바랍니다.   다음으로는 ‘반갑다’라는 단어에 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반갑다라는 말은 다른 말로 번역하기가 어려운 우리말입니다. 영어에서는 단어가 아니라 문장으로 번역하게 됩니다. ‘Nice to meet you’ 정도가 반갑다는 의미일 겁니다. 일본어에도 마땅한 표현이 없습니다. 굳이 일본어로 번역하면 ‘aeteureshii’ 정도일 겁니다. 그렇다면 반갑다라는 말은 한국인의 특성을 잘 드러내는 말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언어에 없는 우리말 표현에 주의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갑다는 ‘반’과 ‘갑다’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반’은 무슨 뜻일까요? 저는 반의 의미를 빛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련이 있는 단어로는 ‘반짝반짝’이 있습니다. 빛이 나는 것을 표현하는 의태어입니다. 반짝은 모음교체를 하면 ‘번쩍’과 관련이 있습니다. 번쩍의 ‘번’도 빛의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번이 빛의 의미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단어에는 ‘번개’가 있습니다. 번개는 자연현상 중 빛이 나는 현상입니다. 소리는 ‘우레’라고 합니다. 한 단어를 더 이야기하자면 빛이 나는 벌레 ‘반딧불이’가 있습니다. 반디라고도 하는 벌레인데, 이 때 ‘반’이 빛이라는 의미이고 ‘디’가 벌레라는 뜻입니다. 진물이 나는 벌레는 ‘진디’입니다.   따라서 반갑다는 빛이 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다른 사람을 만났을 때 내 모습에서 빛이 난다는 겁니다. 밝아진다는 의미입니다. 기쁜 거죠. 저는 ‘반갑습니다’라고 말하면서 얼굴이 어두우면 거짓이라고 생각합니다. 반갑습니다라고 말할 때 자신의 표정을 살펴보기 바랍니다. 저는 사람들을 만날 때 기쁘기 바랍니다. 그러면 반갑다는 말이 진심이 되니까요.   마지막으로 ‘아름답다’라는 말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아름답다의 ‘-답다’ 앞에는 주로 사람에 해당하는 표현이 옵니다. 그런데 중세국어를 살펴보니 아름의 의미가 나(私)의 의미로 나타납니다. 아름답다는 말은 어원적으로 보자면 나답다는 의미입니다. 다른 사람을 흉내 내지 않고 나의 가치만 발견해도 아름다운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우리말 깨달음 우리말 표현 우리말 어휘 한국어 교육학

2021-10-3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